감응신호가 뭔가요?
늘어나는 좌회전, 보행자 감응신호
운전을 하고 가다보면 신호등 곳곳에 도로바닥과 횡단보도에 감응신호라고 적힌 파란 네모를 볼 수 있습니다.
파란 네모가 없었을 당시에는 어느 지점에서 감지를 하는지 몰라 조금씩 전진하거나 후진하기도 했습니다.
감응신호라 해서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는 건가보다라고 생각만 했었는데 요근래 부척 늘어나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감응신호는 뭐고 도입된 이유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감응신호는 자동차나 보행자를 감지하여 유동적으로 신호를 보내는 시스템인데 교차로나 횡당보도 인도 바닥에 그려진 파란 네모나 하얀 네모안에 감응신호라고 써있는 곳을 말합니다.
마주오는 차가 없다고 직진신호이지 좌회전 하는 운전자도 많고 그로 인해 사고도 많아 감응신호를 도입한 듯 합니다.
직진 차량이 월등히 많고 좌회전 차량은 미미한 곳이나 보행자가 횡단보도를 이용하는 비율이 적을 곳에 감응신호가 많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직진 통행량이 월등히 많은데 불필요한 신호대기로 인한 시간낭비와 가속이나 감속으로 인한 추돌사고 등으로 발행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도 있다고 합니다.
건너는 사람도 없고 좌회전 하는 차량도 없는데 신호대기를 할 때 이 신호는 왜 있는가 했던 적도 많았는데 감응신호를 알고는 이거 좋은 아이디어구나 라고 감탄했습니다.
그러나 어떻게 감지를 하고 신호를 보내는 건가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좌회전 감응신호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영상분석기법이나 아스팔트 아래에 루트 코일이나 무게 감지 센서를 매설하여 자동차의 유무를 파악한다고 합니다. 오토바이 같이 무게가 적은 차량은 이륜차 전용 감지기를 추가로 매설하기도 합니다.
감응신호 지점에 서면 신호가 금방 바뀔거라 생각할 수 있는데 기존 신호시간보다 제법 기다리는 이유는 차량이 없을 때 생략한 신호를 되살리는 것이라 시간이 걸린다고 합니다. 차량이 없어 원래 보내야 하는 신호를 스킵한 것이고 다음 신호가 들어올때 까지 원래 신호의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고 합니다. 이유를 알고나니 그 정도의 시간은 충분히 기다릴 수 있을 것 같지 않습니까? 내가 직진하는 일이 좌회전 하는 일보다 훨씬 많으니깐 말이죠.